마이크로소프트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몰라도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짤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인 파워앱스 모바일 앱을 공개했다. iOS와 안드로이드용 공개 프리뷰 버전을 공개했다.
파워앱스는 캔버스(canvas)와 모델 드리븐(model-driven) 앱들을 돌릴 수 있다.
새 파워앱스 앱 공개 프리뷰 버전은 하나의 앱에 캔버스와 모델 드리븐 소프트웨어를 통합 하였다.
파워앱스는 코딩이 아예 필요 없는 노 코드(No code)나 코딩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로우코드(Low code) 패러다임을 겨냥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차세대 플랫폼 중 하나이다.
미국의 경제방송사 <CNBC>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앞으로 5~6년간 약 5억개 가량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개발 될 것을 기대하고있다. 이는 지난 40년간 개발된 모든 앱의 수보다 많은 수치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찰스 라만나 시티즌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담당 부사장은 이런 의견에 더해 “이게 사실이라면 이중 4억5천만개는 로우코드 도구를 통해 개발될 것이다”라고 하였고, “이렇게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코딩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충분한 사람들이 없다. 프로 개발자들은 어려운 과제들에 집중해야 한다”라고 의견을 더했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는 노 코드 소프트웨어 개발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뉴욕시의 경우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단 며칠만에 위기 관리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했다. 전에 없던 빠른 속도인데, 제작 과정에서 코드가 한줄도 들어가지 않은 것이 이런 빠른 개발의 비결이었다.
파워앱스는 사용 기준으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비즈니스 앱 중 하나로 꼽힌다. 라만나 부사장은 “현장 업무에 필요한 앱들은 IT부서가 채워줄 수 있는 것보다 5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우리의 목표는 매우 야심만만하다. 강한 고객 수요가 거기에 있음을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엑셀 스프레드시트도 기초적인 로우코드 소프트웨어라고 볼 수 있다. 엑셀과 같은 셀프 서비스 소프트웨어 사용자가 매니지드 플랫폼으로 이동해 나가다 보면 앱 개발자가 될 것이라고 <CNBC>는 전했다.
|